커지는 이재명 ‘선당후사론’··

홈 >정치 > 정치
정치

커지는 이재명 ‘선당후사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3-11-18 07:44

본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내년 총선 불출마나 험지 출마를 요구하는 당내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 대표가 먼저 선당후사해야 내년 총선을 앞둔 민주당의 혁신도 가능하다는 이유에서다. 그 배경에는 당이 공천 물갈이·도덕성 경쟁에서 국민의힘에 밀릴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있다. ‘사법 리스크’가 있는 이 대표가 출마하면 부정부패 의혹에 연루된 다른 정치인들도 무더기 출마를 선언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96f65427b2066e791f259867cd2a1986_1700261083_9743.jpg
 

민주당의 정풍운동을 지향하는 ‘원칙과 상식’ 모임은 17일 이재명 대표가 내년 총선에 불출마한다면 함께 불출마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윤영찬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에서 “당대표와 지도부 모두가 선당후사의 취지를 가장 앞세워야 한다”며 “만약 그런 취지대로 간다면 우리 혁신계 의원들, ‘원칙과 상식’에 소속된 의원 4명(김종민·윤영찬·이원욱·조응천)도 언제든지 그 일에 앞장설 각오가 돼 있다”고 말했다.

이원욱 의원도 이날 YTN 라디오에서 “친이재명(친명)계 의원들이 ‘우리도 (험지 출마) 할 테니까 너도 해봐라’ 그러면 저는 아무리 험지라도 무조건 선당후사하겠다고 지금 다시 한번 국민들께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친명계 김두관 의원도 전날 SBS 라디오에서 “이재명 대표가 험지 출마든 (무엇이든) 당의 승리를 위해서 결심해야 한다”며 “선거에서 자기만 살겠다고 고집하면 당이 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경기 성남이나 대구나 경북 안동을 포함해서 ‘당의 총선 승리를 위해서 내가 어떤 역할이라도 하겠다’는 정도의 메시지가 나와줘야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나 이준석 전 대표와의 혁신 경쟁에서 밀리지 않을 것”이라며 “이 대표가 결심하는 것 자체가 총선 승리의 최대 전략”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에선 다시 ‘서울 위기론’이 부상하고 있다. 한국갤럽이 지난 14~16일 유권자 1001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민주당은 핵심 승부처인 서울에서 지지율(30%)이 국민의힘(37%)에 오차범위 밖으로 뒤처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5% 신뢰수준, 표본오차 ±3.1%.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전주 조사에서는 그 격차가 12%포인트나 됐다.

지지율 답보 상태의 원인 중 하나로 ‘이재명 리스크’가 꼽힌다. 민주당이 이 대표 ‘방탄’ 논란 등을 거치며 국민 신뢰를 잃었고, 연이은 재판으로 리스크는 언제든 재부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인천 계양을 총선 (출마), 당대표 선거, 사법 리스크에 따른 ‘방탄 국회’ 과정에서 한 번도 이 대표가 기득권을 내려놓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기 때문에 비호감도가 매우 높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지난 9월 ‘불체포특권 포기’ 대국민 약속을 파기하고 본인에 대한 국회 체포동의안 부결을 호소한 바 있다.

민주당이 도덕성·혁신 경쟁에서 국민의힘에 밀릴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민주당은 지난 5월 ‘22대 총선 후보자 선출 규정 특별당규’를 확정하면서 ‘뇌물·성범죄 혐의 등으로 하급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을 경우 부적격 처리한다’는 규정을 삭제했다. ‘사법 리스크’가 있는 이 대표의 총선 출마 길을 터주기 위한 ‘맞춤형 공천 규정 변경’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당내에선 박지원·천정배 전 의원 등 ‘올드보이’들과 ‘사법 리스크’가 있는 정치인들이 무더기로 내년 총선 출마를 준비하고 있다.

이 대표가 다선 의원이나 부정부패 혐의로 수사를 받는 의원 등에게 불출마를 권하기는 쉽지 않다. 당 관계자는 “이해찬 전 대표는 본인이 21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상태에서 중진 의원들의 용단을 끌어냈다”며 “반면 이 대표가 불출마를 권하면 당사자들은 ‘부정부패 혐의로 재판받는 대표는 인천 계양을에 출마하는데 왜 나는 출마하면 안 되냐’고 반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선당후사 제안에 이 대표는 침묵하고 있다. 대신 친명계와 당 지도부는 이 대표 불출마·험지 출마 요구에 반대 목소리를 높이며 분명히 선을 그었다. 박찬대 최고위원은 전날 MBC 라디오에서 “총선을 진두지휘해야 할 당 대표가 험지인 고향 안동에 가서 자기 선거만 하라는 것은 현실성 없는 주장”이라며 “지금 현재의 스탠스는 인천 계양을에 다시 나오는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일각에선 이 대표가 총선이 임박하면 차선책으로 ‘2선 후퇴’를 결단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께서도 70% 이상이 횡재세 도입을 찬성하고 있고 영국도 에너지 부담금을 통해 영업 이익의 35%를 횡재세로 부과하고 있다. 우리만 하는 일이 아니다"며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이제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횡재세 도입을 할 수 있도록 협력해달라"고 촉구했다.

이 대표는 "우리는 공정한 경쟁 환경을 회복해야 한다"며 "민주당이 고금리로 엄청난, 특별한, 예상하지 못한 이익을 거둔 금융기관들과 고에너지 가격 때문에 많은 이익을 얻은 정유사에 대해 횡재세를 부과하는 입법을 추진 중"이라고 전했다.

이 대표는 또 전날(16일)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과 관련 수험생을 격려하며 "시험을 잘 봐도 그다음 대학 학자금이 걱정되는 상태일 것"이라며 "우리나라 대학 교육비 부담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기준 최상위인데 정부 부담은 중하위권에 불과하다"고 했다.

이어 "역시 대한민국은 국가 책임보단 개인 책임을 더 많이 부과하는 나라란 생각이 든다"며 "우리 미래를 책임질 학생이 부담 없이 공부에 매진할 수 있도록 학습비용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대학 졸업 후 학자금 이자를 일정한 소득이 있을 때까지 면제해 주자는 학자금지원법에 대해 국민의힘이 계속 발목을 잡고 있다"며 "말로만 청년, 학생을 위한다고 하지 말고 실질적인 정책 입법에 나서 주길 당부드린다. 말 따로, 행동 따로 해서는 국정을 제대로 운영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96f65427b2066e791f259867cd2a1986_1700261281_7394.jpg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내년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이 200석도 가능하다는 얘기가 나온다'는 질문에 "바보같은 얘기"라고 일축했다.

 

김 지사는 17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지사는 "국민의힘과 민주당도 혁신을 얘기하면서 험지 출마 등을 얘기하고 있지만 문제의 포인트가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의힘의 혁신은 험지 출마나 불출마가 아니라 대통령이 문제"라며 "대통령의 국정기조를 변화시키는 게 제가 생각하는 국힘의 혁신"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민주당 역시 진짜 혁신을 해야 한다"며 "기득권 내려놓고, 도덕성 회복하고, 정치 개혁을 분명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금 다시 선거법 얘기 나오는데, 좌고우면 하면 안 된다"며 "애초에 작년 전당대회에서 제가 정치교체 위원장으로 정치교체 결의안을 제안해서 전 당원 94% 찬성으로 통과시켰다. 다시 옛날로 회귀해서 양당 카르텔 구조 만들겠다는 것은 안 된다"고 잘라 말했다.

 

이어 "선거법에 있어서 지금의 이 강고한 양당구조가 문제 아닌가. 다양한 목소리가 나오게끔 또 다당제로 가게끔, 이미 결의안을 통해 얘기 했다"며 "약속은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7일 여권의 ‘김포시 서울 편입’ 움직임과 관련 “단언컨대 실현 불가능한 일”이라며 “(양평고속도로 노선 변경에 이어) 사기를 또 다른 사기로 덮으려는 시도”라고 혹평했다.

 

또 오세훈 서울시장, 유정복 인천시장 등 수도권 광역단체장들과 가진 전날 회동에 대해선 “애초부터 (오 시장 등과) 긴 얘기를 나눌 필요가 없었다. 접점 자체가 전혀 없는 사안”이라고 잘라 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이 지방시대를 주장하던 날 여당에선 서울 일극화를 주장했는데, 이런 코미디가 어디 있느냐”고 했다.

4b881818e7c5976da6a5d655b9c2bd70_1700271117_759.jpg
 


 더불어민주당 내 비명(비이재명)계가 지난 16일 정치 결사체인 '원칙과상식'을 공식 출범하고 당 혁신을 강하게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일명 '개딸'로 불리는 이재명 대표의 강성 팬덤의 비명계 의원들에 대한 공격을 당내 민주주의 훼손으로 규정했다. 이 대표가 팬카페 '재명이네 마을' 이장직을 내려놓고, 강성당원들에 대한 징계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아울러 이 대표 등의 험지출마 결단이 필요하다는 언급도 있었다.

원칙과상식은 전날(17일)에도 성명을 내고 "민주당의 혁신브랜드가 없다"며 "인요한 혁신위와 혁신경쟁을 해야한다"고 촉구했다. 원칙과상식에는 비명계로 분류되는 김종민, 윤영찬, 이원욱, 조응천 의원이 이름을 올렸다. 이들은 출범 기자회견에서 이름을 올리지는 않았지만, 40~50여명의 의원이 뜻을 함께 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앞서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를 지적하며 자진사퇴 등을 촉구했던 비명계는 체포동의안 가결과 이어진 구속영장 기각 이후에는 목소리를 비교적 낮게 유지했다. 그러나 원칙과상식 출범을 계기로 목소리를 높이고 공개행보를 하고 있다.

이 대표는 원칙과상식 출범에 대한 입장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지 않으며 말을 아꼈다. 그러나 친명계에서는 강한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친명계로 분류되는 민형배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내년 총선 경선이 100일도 채 남지 않았는데 정풍운동을 하자는 것이냐. 왜 하필 지금인가"라며 "경선에 밀릴 것 같으니까 공천 보장하라고 투정하는 것 아니냐는 의심이 나올 수 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김민석 의원도 "곳곳에 꽹과리 소리다. 총선 시즌 고정 레퍼토리"라며 "당이 싫으면 나가면 된다. 검찰독재, 민생파탄과 싸워야 한다. 이게 원칙과 상식이다. 꽹과리 소리가 얼마나 가겠는가"라고 지적했다.

우원식 의원은 "지금 친명, 비명이니 구분하며 편가르는 논쟁을 펼치는 것은 국민의 관심사도 아닌 먹물들의 한가한 탁상공론일뿐"이라며 "더 이상 불필요한 싸움을 하지 말고 진심으로 당의 미래와 민생을 위해 힘을 모으길 바란다"고 했다.

친명계 원외인사들이 모인 '더민주전국혁신회의'도 "이들에게 원칙과 상식은 공정한 공천 경쟁이 아닌 본인에 대한 공천 보장"이라며 "이런 사리사욕은 끝내 국민에게 외면당하고 심판받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혁신회의는 원칙과상식에 당 혁신 방안을 둔 '끝장토론'을 제안하기도 했다. 

 

경남정경뉴스 편집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글이 없습니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