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단의 순간..."혁신위 무너지면 김기현 체제도 같이 무너져

홈 >정치 > 정치
정치

결단의 순간..."혁신위 무너지면 김기현 체제도 같이 무너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3-11-17 07:19

본문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전권을 부여받으며 출범한 인요한 당 혁신위원회는지도부·중진·대통령 측근의 불출마 또는 험지 출마라는 극약 처방을 내렸다. 정식 안건은 아니지만 사실상 국회의원직을 내려놓으라는 권고에 당 분위기는 순식간에 경색됐다.

ba9a51fba6f893aa216e561b53fc24c4_1700173139_2971.jpg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핵심측근)으로 불리며 실세로 꼽혔던 장제원 의원은 사실상 반발했고, 혁신위가 조기 해산 가능성까지 언급하는 등 권고 대상과 혁신위 간 갈등 구도가 형성되자 김기현 대표는 혁신위에 자중할 것을 촉구했다.

이런 가운데 인 위원장은 윤석열 대통령 측에서 '소신껏' 하라는 신호가 왔다며 당 지도부와 중진들을 재차 압박하는 등 김 대표의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일단 김 대표는 정면돌파를 선택하는 모습이다. 김 대표는 16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인 위원장을 향해 "당무에 개입하지 않고 있는 대통령을 당내 문제와 관련해서 언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김 대표의 이런 발언은 인 위원장이 '윤석열 대통령'의 이름을 앞세워 대다수가 자신을 친윤이라고 하는 당 소속 의원들을 압박하려는 우회 전략을 비판한 것이다.

이에 결국 모든 것은 최종 결정권자인 김 대표의 몫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게 됐다. 김 대표 자신도 불출마 압박을 받는 상황에서 그의 결정에 당 혁신의 성패가 갈릴 전망이다.

당 내부에서는 혁신위에 대한 의견차가 드러나고 있다. 앞서 윤희석 선임대변인은 지난 15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불출마 등 권고는 개인의 결정이라며 "혁신위 전권이란 건 제한 없이 모든 이야기를 해달라고 받아들였다"고 설명했다.

혁신위는 어디까지 최고위 산하 기구 중 하나로 많은 제안을 할 수 있지만, 이를 결정하는 건 지도부 혹은 국회의원 개개인에 달렸다는 것이다.

반면 수도권 출마를 결정한 하태경 의원은 16일 KBS라디오에서 "김 대표가 인 위원장에게 약속했던 것은 전권을 주겠다는 것이고 전권을 주겠다는 혁신위의 결정은 지도부에서 통과시키겠다는 것"이라며 "김 대표는 전권을 주겠다고 한 약속을 충실하게 이행해야 한다. 김기현 지도부와 인요한 혁신위는 운명 공동체로 혁신위가 무너지면 김기현 체제도 같이 무너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인 위원장은 조기 해산은 없다고 못을 박았지만 만약 김 대표가 계속 결정을 미루거나 혁신위를 향한 비판을 쏟아낼 경우 조기에 해산할 가능성도 있다. 인 위원장이 버틴다고 해도 다른 혁신위원들이 빠져버릴 수 있다.

오신환 혁신위원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3호 혁신안을 보고한 뒤 기자들과 만나 "(혁신위 임기가) 12월 24일까지라는데 그렇게까지 길게 가고 싶은 마음은 개인적으로 없다"며 "크리스마스를 어떻게 혁신위랑 (함께 하나)"라고 말했다.

혁신위 조기 해산 결정이 나올 경우 모든 책임은 김 대표에게 쏠릴 수밖에 없다. 이 경우 일각에서 제기되는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등과 같은 극단적 선택지도 가능하다.

그렇다고 김 대표가 혁신위 권고를 수용한다 해도 당내 중진들을 중심으로 김 대표에 대한 책임론을 쏟아낼 수도 있는 만큼 김 대표는 다음달 초로 예정된 인요한 위원장의 권고안 정식 보고 전까지 결단의 순간을 보낼 전망이다. 

ba9a51fba6f893aa216e561b53fc24c4_1700174168_9616.jpg
 



국민의힘이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참패 이후 쇄신하겠다며 내놓은 방안들이 윤석열 대통령의 측근 의원들로부터 거부당하는 예측 못한 풍경이 펼쳐지고 있다.

특히 쇄신의 '첫 단추'가 될 것이라 기대를 모았던 혁신위원회가 지도부·중진·친윤(친윤석열) 인사를 향해 불출마·험지출마 등을 요구했지만, 당사자들이 침묵 또는 거절 의사를 밝히면서 '무용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혁신위의 요구가 윤석열 대통령의 의중으로 읽히고 있는 가운데, 반발의 중심에는 김기현 대표와 친윤 핵심인 장제원 의원의 이른바 '김-장 연대'가 존재한다.

김 대표는 윤 대통령의 의중(尹心)을 등에 업고 지난 3월 전당대회에서 과반 이상을 득표했던 바 있다. '윤석열 정부의 성공'을 외쳐오던 이들에게 "당이야 총선에서 지든 말든 개인의 영달(공천)만 추구한다"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첫 단추부터 제대로 꿰어지지 못하면서 함께 띄웠던 총선기획단과 인재영입위도 별다른 감동을 주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총선기획단은 공천룰을 세운다고 하지만, 추후 공천관리위원회가 꾸려진다면 사실상 무용지물에 불과한 상황이다. 당헌·당규상 공관위가 총선기획단을 무시하고 총선룰을 강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인재영입위 역시 이철규 전 사무총장이 위원장을 맡으면서 '회전문 인사'라는 비판을 받았고, 의사·변호사 등이 위원을 맡으면서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는 판국이다.

결국 김기현 대표가 꺼낸 '쇄신 3안'이 모두 호응이 없는 가운데, 이 중심에는 김기현 대표와 장제원 의원의 이른바 '김-장 연대'가 존재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김 대표의 경우 전당대회 당시 지지율 꼴찌를 달리다가 윤석열 대통령의 지원에 힘입어 대표까지 이르게 됐고, 장 의원 역시 여러 인사에 개입하는 등 권력을 누려왔음에도 정작 희생 요구에는 침묵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인요한 혁신위원회'의 행보가 윤석열 대통령의 의지와 무관하지 않다는 게 당내 중론으로 받아들여지는 상황에서 이들(친윤)이 대통령의 의지에 반하는 행동을 이어가는 상황을 두고 여러 해석이 나온다.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좀처럼 30%대 박스권을 돌파하지 못하는 등 인기가 없자, 친윤들이 등을 돌린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되는 것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김 대표와 장 의원에게 윤 대통령이 적절한 자리를 제안해 '회유책'을 줘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그러나 이 역시 윤 대통령에겐 상당한 부담을 지운다는 지적이 불가피하다.

당내 인사는 "윤 대통령에 바라는 것이 장관 등의 자리일 수 있는데, 공천이 부적절해 백의종군을 강권하고 있는 인사들의 발길을 돌리려 내각을 맡기는 것은 원칙에 맞지 않는다"라며 "일부 윤핵관의 행보가 오히려 윤 대통령의 국정 장악력에 누가 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경남정경뉴스 편집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글이 없습니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